삼겹살 과 돼지비개(3)![]()
Views : 18,067
2025-04-09 06:40
자유게시판
1275618191
|
"몸에 안 좋은 줄 알고 버렸는데"…채소보다 건강하다는 '이것' 반전
2025.04.08. 오후 9:34 기사원문
[서울경제]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순위에서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흔히 '건강에 해롭다'고 여겨지던 돼지고기 지방이 상위권에 오른 것이다.
영국 매체 서레이라이브가 6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BBC Future의 조사에서 돼지고기 지방이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에 선정됐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저널에 게재된 식품영양 연구를 바탕으로 1000개 식품을 분석했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100개 식품을 선별한 뒤 영양성분에 따라 순위를 매겼다. 돼지고기 지방은 100점 만점에 73점을 기록했다. 이는 토마토, 적양배추, 상추는 물론 고등어, 고구마, 오렌지보다 높은 점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돼지고기 지방의 높은 순위는 풍부한 영양소 때문이다. 특히 비타민B가 풍부해 탄수화물 대사와 포도당의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뼈와 치아 형성에 도움을 주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비타민D도 다량 함유돼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과도한 섭취에 대해서는 경고했다.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성인 기준 하루 100~150g 섭취를 권장한다.
현혜선 기자(sunshine@sedaily.com)
2025.04.08. 오후 9:34 기사원문
[서울경제]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순위에서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흔히 '건강에 해롭다'고 여겨지던 돼지고기 지방이 상위권에 오른 것이다.
영국 매체 서레이라이브가 6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BBC Future의 조사에서 돼지고기 지방이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에 선정됐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저널에 게재된 식품영양 연구를 바탕으로 1000개 식품을 분석했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100개 식품을 선별한 뒤 영양성분에 따라 순위를 매겼다. 돼지고기 지방은 100점 만점에 73점을 기록했다. 이는 토마토, 적양배추, 상추는 물론 고등어, 고구마, 오렌지보다 높은 점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돼지고기 지방의 높은 순위는 풍부한 영양소 때문이다. 특히 비타민B가 풍부해 탄수화물 대사와 포도당의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뼈와 치아 형성에 도움을 주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비타민D도 다량 함유돼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과도한 섭취에 대해서는 경고했다.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성인 기준 하루 100~150g 섭취를 권장한다.
현혜선 기자(sunshine@sedaily.com)
질의 중... 30초 정도 걸려요 ...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피프티2팬 [쪽지 보내기]
2025-04-09 09:11
No.
1275618214
뭐든지 적당히 먹는 게 좋습니다
만병의 근원은 바로 먹는 것에서 부터 시작
만병의 근원은 바로 먹는 것에서 부터 시작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바다에누워 [쪽지 보내기]
2025-04-09 09:16
No.
1275618215
문제는 한국인의 식사문화가 서양인과 많이 다르다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삼겹살 100~150g 이라면 1인분도 안되는 양인데 간에 기별도 안가고 먹다가 말은 느낌이고 그렇게 대접하면 속으로 욕을 바가지로 합니다.
삼겹살과 몇가지 야채로 배에 가득 채워야 넣어야 하는 식문화. 그러니 무제한 삼겸살 식당이 한국인이 세계적 선구자 역활^^
이에 비해 서양인은 삼겹살을 가공을하여 베이컨으로 둔갑. 기껏해야 바싹 구어 기름을 제거한뒤 샌드위치로 먹는 정도. 가공육이 좋지 않은걸 알고, 삼겹살 자체로 많은 양을 한국을 위시한 동남아 국가에 싼가격에 수출합니다.
위 기사의 문제점은 조리법에 관해 밝힌바가 없어 생고기 위주로 분석하지 않았나 싶네요.
고기를 직화구이나 뜨거운 열에 오래 튀긴 튀김 종류는 아시다시피 발암 물질의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것이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방.
지방은 우리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주된 칼로리이고 수치로는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보다 높지만 지나치면 체내에 쌓이게 되고 이것이 만병의 원인이라는건 누구나 알거로 봅니다.
지방이 위에서 분해되는 순서로는 생선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이 닭고기 그 다음이 돼지고기 그리고 소고기 입니다. 소고기에 기름이 멋지게 분포되어 있으면 입에서 부드러운 맛을 느끼겠지만 그게 사실 지방 덕분이겠지요~~
저는 닭은 닭가슴살, 돼지고기는 지방이 적고 가장 건강한 부위라는 등심( pork loin) 그리고 소고기는 지방이 거의 없는 부위로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고 야채를 듬뿍 넣은 Stir fried 를
선호합니다.
암튼 살면서 도움이 되는 이런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당~
거 늙은이 말이 많네^^
저 늙은이 아닙니다요~ 헬스 클럽가서 근육 키우는 젊은 오빠입니다용^^
애증의 나라 필리핀~ 즐겁게 보내시길요^^
삼겹살 100~150g 이라면 1인분도 안되는 양인데 간에 기별도 안가고 먹다가 말은 느낌이고 그렇게 대접하면 속으로 욕을 바가지로 합니다.
삼겹살과 몇가지 야채로 배에 가득 채워야 넣어야 하는 식문화. 그러니 무제한 삼겸살 식당이 한국인이 세계적 선구자 역활^^
이에 비해 서양인은 삼겹살을 가공을하여 베이컨으로 둔갑. 기껏해야 바싹 구어 기름을 제거한뒤 샌드위치로 먹는 정도. 가공육이 좋지 않은걸 알고, 삼겹살 자체로 많은 양을 한국을 위시한 동남아 국가에 싼가격에 수출합니다.
위 기사의 문제점은 조리법에 관해 밝힌바가 없어 생고기 위주로 분석하지 않았나 싶네요.
고기를 직화구이나 뜨거운 열에 오래 튀긴 튀김 종류는 아시다시피 발암 물질의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것이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방.
지방은 우리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주된 칼로리이고 수치로는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보다 높지만 지나치면 체내에 쌓이게 되고 이것이 만병의 원인이라는건 누구나 알거로 봅니다.
지방이 위에서 분해되는 순서로는 생선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이 닭고기 그 다음이 돼지고기 그리고 소고기 입니다. 소고기에 기름이 멋지게 분포되어 있으면 입에서 부드러운 맛을 느끼겠지만 그게 사실 지방 덕분이겠지요~~
저는 닭은 닭가슴살, 돼지고기는 지방이 적고 가장 건강한 부위라는 등심( pork loin) 그리고 소고기는 지방이 거의 없는 부위로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고 야채를 듬뿍 넣은 Stir fried 를
선호합니다.
암튼 살면서 도움이 되는 이런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당~
거 늙은이 말이 많네^^
저 늙은이 아닙니다요~ 헬스 클럽가서 근육 키우는 젊은 오빠입니다용^^
애증의 나라 필리핀~ 즐겁게 보내시길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유머 [쪽지 보내기]
2025-04-09 18:12
No.
1275618337
@ 바다에누워 님에게...
삼겹살 기준이 아닌 지방 기준 100g~150g 입니다
삼겹살 기준이 아닌 지방 기준 100g~150g 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7987
Page 1960


사기꾼 박형신,이호 (부부사기단)
(1)
dowuie22231
17,058
25-04-12



택시운영 경험담 (2)
1
Minam
19,333
25-04-12



지프니 운영 경험담 (4)
1
Minam
48,281
25-04-11



박진영 사기꾼
(3)
kill
34,038
25-04-10


필리핀에서 전망있는 사업 (16)
Minam
71,449
25-04-10

재외국민 투표 등록합시다! (11)
마린보이99
69,056
25-04-10

K-luxury massage and spa
(3)
Lyn Mabazza
30,026
25-04-09


미국 언론에도 없는 트럼프의 전략
(9)
1
Pransiya
68,792
25-04-09



일로일로부터 세부까지 (3)
1
Minam
32,158
25-04-09


아이구,참! (3)
1
Dreamer
33,064
25-04-09


늘 손꾸락이 문제 (2)
피프티2팬
17,544
25-04-09

"18룡'이라니!
(8)
lovelove
51,268
25-04-09


완규야 철수야 (6)
피프티2팬
41,214
25-04-09

바기오 한국식당소개해주세요 (1)
hotspring
16,383
25-04-09

투 도어 냉장고 냉장실이 차갑지않은 이유
makati
16,071
25-04-08


윤영규 님 연락 주세요. (1)
rose laus
19,217
25-04-08

두글자 보아라.. (15)
1
마운틴석양
94,108
25-04-08


또다시 슬금슬금 오르는 환율.. 참 나. (4)
megapose
19,630
25-04-08

정형식은 왜 배신했을까? (31)
1
Phil Inv
105,790
25-04-07


안녕하세요 러닝모임입니다 (2)
비지씨러닝
15,871
25-04-07
